의정부 클라이밍센터 포레스포의 클라이머들, 암벽등반 기본용어

2025. 2. 19. 16:18아웃도어공장/암 벽

반응형

 
 
의정부시 클라이머들의 메카 포레스포 암장이 새롭게 개장했다. 기존에 있던 홀드 문제들을 모두 탈거하고 새로운 문제로 출제한 것이다. 이틀간의 공사과정을 거쳐 새롭게 탄생한 암장 개장을 축하하기 위해 많은 클라이머들이 모였다.
 
이곳의 루트 문제 난이도는 5.9에서 12까지로 다양하다. 새롭게 출제된 문제들은 앞으로 우리들에게 도전의식을 불태워줄것이다. 멈춰져있던 열정과 목표의식이 새로 생겨나는 게기가 될것이고 이로인해 즐거움의 산실이 될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포레스포
의정부시 금오동 400평 최대규모 기구 필라테스 골프 실내암벽등반 헬스장
경기 의정부시 청사로47번길 18 로얄프라자 6층 601~603호
☎      0507-1365-6211
평    일 : am06:00 - pm11:00
토요일 : am06:00 - pm08:00
일요일 : am06:00 - pm08:00
공휴일 : am06:00 - pm08:00
 
 
 
 
 
 
 

클라이밍을 이해하기 위한 암벽등반 기본용어 알아보기

 

 
 
볼더링(Bouldering) : 작은 암벽에서 로프, 하네스를 사용하지 않고 등반하는 행위
리드(Lead) : 안전벨트(하네스)에 로프를 걸고 높이 12m 이상, 경사 90~180도의 암벽을 오르는 방식
자유등반(Free Climbing) :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 오직 사람의 능력만으로 암벽을 오르는 등반 형식
인공등반(Aid Climbing) : 자유등반과 달리 인공 보조물(볼트, 너트, 하켄 등)을 이용해 오르는 것
빌레이(Belay) : 확보. 등반 중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선등자 확보, 후등자 확보, 자기확보로 구분된다.
다이나믹 빌레이(Dynamic Belay): 로프가 확보 장치를 통해 지나치게 하여 추락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는 확보 방법
크럭스(Crux) : 등반 루트 중 가장 어려운 부분
클라이밍다운(Climbing Down) : 로프를 사용하여 하강 없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벽을 내려오는 것
피치(Pitch) : 루트의 한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멀티피치 등반 시 구간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프릭션(Friction) : 마찰
데포(Depo) : 특정한 곳에 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관해두는 것
디센딩(Desending) : 하강
루트파인딩(Route Finding) : 올라가고자 하는 루트를 사전에 정찰 및 탐지하는 일
스미어링(Smearing) : 등산화/암벽화 밑창을 문질러서 경사 진 작은 풋 홀드를 이용하는 기술 
스탠스(Stance) : 바위에 발 디딤이 될 수 있는 조그만 턱이 진 돌기 
온사이트(Onsight) : 처음 본 바위 루트를 사전의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추락 없이 단번에 올라가는 것 
케른(Cairn) : 이정표 역할을 해주는 작은 돌 무더기
토포(Topo) : 루트의 선을 그린 도면. 개념도.
탑로핑(Top Ropping) : 로프를 미리 설치하고 설치된 로프에 안전을 확보하여 등반하는 것


홀드의 종류
저그(Jug) 홀드 : 크기가 커서 편하게 잡기 좋은 큰 손 홀드
포켓(Pocket) 홀드 : 홀드에 구멍이 있어서 손가락을 넣어 잡는 형태의 홀드
슬로퍼(Sloper) 홀드 : 모나거나 튀어나온 곳이 없는 둥글고 큰 홀드로, 손가락이 아닌 손바닥만을 이용하여 잡는 홀드
언더컷(Under cut) 홀드 : 홀드의 잡는 부분이 아래로 향해있어 손가락으로 들어올리듯 잡는 홀드
핀치(Pinch) 홀드 : 손가락과 손바닥을 이용하여 꼬집듯이 움켜쥐는 홀드
크림프(Crimp) 홀드 : 손가락 2~3개 정도만 겨우 걸칠 수 있는 아주 작은 사이즈의 홀드


바위 형태
침니(Chimney) : 몸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들어가는 굴뚝 형태의 바위 틈
크랙(Crack) : 바위의 갈라진 틈새. 레이백, 째밍 등의 기술을 구사하여 오를 수 있음
슬랩(Slab) : 비교적 홀드나 스탠스가 적은 경사진 바위면으로 마땅한 홀드가 없는 게 특징
오버행(Overhang) : 바위 일부가 수직 이상의 경사를 지닌 채, 지붕 모양으로 튀어나온 부분
촉스톤(Chock stone) : 크랙이나 침니 속에 쐐기처럼 박혀 있는 돌
디에드르(Diedre) : 좌우 암벽이 90도 전후로 책을 펼친 모양으로 된 곳 
피나클(Pinacle) : 암벽이나 암릉 위에 뾰족하게 튀어나온 돌기 부분
밴드(Band) : 바위를 가로지르는 선반 모양의 띠
칸테/깐테(Kante) : 암벽상에 각이 져서 튀어나온 긴 바위의 모서리
플레이크(Flake) : 얇은 바위가 암벽 일부에 들떠 있는 덧바위


등반 장비
하네스(Harness) : 추락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신체의 각 부분으로 분산시켜 부상을 막고 안전을 도모하는 등반용 안전벨트
카라비너(Carabinner) : 확보를 할 때나 확보지점에 로프를 통과시키고 오를 때 중개물로 쓰는 쇠고리
퀵드로우(Quick Draws) : 테이프 슬링을 기계적 박음질하고 양쪽에 카라비너를 연결한 것. 등반 중 확보물로 사용
프렌드/캠 (Friends/Cam) : 스프링이 달린 금속 확보물로, 좁혀서 크랙에 넣으면 자동적으로 벌어져 고정됨 (*프렌드는 상품이름)
너트(Nut) : 쐐기 모양의 금속 확보물


동작
레이백(Lay Back) : 수직의 크랙을 손으로 잡아 당기고 발은 벽을 밀 듯이 버티며 등반하는 기술
째밍(Jamming) : 크랙에 손가락, 손, 발, 몸 등을 집어넣어 지지력을 얻는 기술 
스테밍(Stemming) : 넓은 침니나 오픈 북 형태의 양벽 면에 다리를 넓게 벌려 양발로 발 홀드를 취하여 지지력을 얻는 기술
트레버스(Traverse) : 옆으로 횡단하는 것
엣징(Edging) : 암벽등반에서 바위의 작은 돌출부를 신발로 딛고 일어서는 기술
티롤리안 브릿지(Tyrolian Bridge) : 계곡이나 협곡 양족에서 확보하는 로프를 타고서 협곡을 건너는 기술
 
[출처] [암벽등반기초백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암벽등반 기본용어|작성자 코오롱등산학교

 
 

 
 

클라이밍센터 포레스포

 
 

 
 


 

 
마무리 작업중인 센터 메니져님 모습
새로운 루트 문제들로 꽉찬 벽면들
 
 
 
 

 
 
 

조금은 어수선한 분위기지만 호기심에 서로 이야기하며 홀들들을 잡아보는 클라이머들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문제들로인해 떨어지고 다시 붙고 서로 정보를 공유하며 열심히 하고있다.
 

 

 
 
 

단체사진 촬영

 
 
 

 

 
뒤풀이 시간도 가졌다
 
 

 

 

 

반응형